정치

빚만 23억인데 재산이 60억?…대치동 주택 6채 보유한 대통령실 최고 부자는 누구

기사입력 2025-09-26 17:09
 이재명 정부 대통령실의 핵심 참모진 31명의 평균 재산이 22억 원을 훌쩍 넘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새 정부 인재들의 재산 형성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6일 공개된 고위공직자 재산등록 사항에 따르면, 이들 중 3분의 1 이상은 서울의 대표적인 부촌인 강남·서초·송파, 이른바 '강남 3구'에 집을 소유하거나 거주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부동산 중심의 자산 구조는 이번에 공개된 참모진의 공통적인 특징 중 하나였다.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한 인물은 60억 7837만 원을 등록한 김상호 보도지원비서관으로, 그는 강남구 대치동에만 다세대주택 6채를 보유하는 등 75억 원에 달하는 부동산 자산을 축적했다. 물론 23억 원에 가까운 채무도 함께 신고했지만, 부동산 편중 현상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그 뒤를 이어 문진영 사회수석이 55억 3197만 원, 이태형 민정비서관이 55억 68만 원을 신고하며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반면 가장 적은 재산을 신고한 전성환 경청통합수석(2억 9266만 원)부터 수십억대 자산가까지, 대통령실 내부에서도 상당한 재산 격차가 존재함을 드러냈다. 이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분류되는 김현지 총무비서관은 11억 8373만 원의 재산을 신고했으며, 논란의 중심에 섰던 성남 대장동 아파트를 청약으로 매입한 사실도 포함됐다.

 


한편, 이번 재산 공개에서는 현직 참모진뿐만 아니라 여러 논란 속에 자리에서 물러난 전직 고위 인사들의 재산 내역도 함께 드러나 파장이 일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을 뒤흔들었던 '12·3 내란' 사태에 연루되어 수사선상에 오른 인물들의 상당한 재산 규모가 눈길을 끈다. 내란중요임무종사 혐의로 기소된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은 38억 5277만 원의 재산을 신고했으며, 계엄령 당시 불법성을 인지하고도 이를 방조했다는 의혹을 받는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은 26억 4668만 원을 등록했다. 이른바 '안가회동'의 또 다른 멤버였던 김주현 전 민정수석 역시 41억 7346만 원의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퇴직자 중에서는 김동조 전 국정기획비서관이 239억 원이 넘는 압도적인 재산을 신고해 1위를 차지했으며, 장호진 전 외교안보특별보좌관(158억 원),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149억 원) 등 현직을 아득히 뛰어넘는 '넘사벽' 자산가들이 줄을 이었다. 이처럼 현직 참모진의 '강남 3구' 선호 현상과 더불어, 각종 의혹으로 수사를 받거나 퇴직한 인사들의 수십, 수백억대 재산 목록이 공개되면서 고위공직자의 재산 형성 과정과 그 배경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논란은 더욱 뜨거워질 전망이다.